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0

[네트워크 인프라] LAN 구축 시뮬레이션 Cisco Packet Tracer 활용 pc 1 = 10.10.10.1/24pc 2 = 10.10.10.2/24pc 2 = 10.10.10.3/24switch와 각각 fast ethernet으로 연결   pc1 의  ip와 mac 정보 확인 PC1 ip : 10.10.10.1/24mac : 00D0.BAB2.D5D2  switch의 cli에서 mac address table 확인enableconfigure terminalno ip domain-lookupexitshow mac-address-table  2번 Switch 에서 mac address table 확인   f0/24 포트에 연결된 스위치인 SW1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음   1번 PC에서 브로드 캐스트로 Ping 보냄.브로드 캐스트가 갔다.. 2024. 8. 20.
[네트워크 인프라] Cisco packet tracer 실습 switch를 통한 네트워크 내 연결을 packet tracer로 시뮬레이션 해보았다.  fast ethernetPC 4개를 2960 switch를 통해 UTP 케이블을 유선 연결하였다.각각 10.10.10.2/24 ~ 10.10.10.5/24 의 ip 주소를 할당 하였다.  10.10.10.5에게 ping test - 4개의 패킷을 보내고 4개의 패킷을 받았다.정상적으로 연결 된 모습        브로드 캐스트 주소로 ping 요청을 보낸 경우4개의 패킷을 보내고 응답은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PC에게 브로드 캐스트 되어 12개의 패킷이 돌아왔다.  그러나 이는 실제 네트워크 인프라 환경에서는 보안 공격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치가 브로드캐스트 핑에 응답하지 않는다. 2024. 8. 19.
[네트워크] IPv4와 Subnetting IPv4는 32비트 길이를 가지며8비트 4개로 이루어져 있다.가능한 값의 범위는0.0.0.0 ~ 255.255.255.255 이다. 모든 기기는 고유한 주소를 가져야 하고ipv4는 네트워크 id와 host id에 해당하는 두 부분을 갖는다. Subnet mask는 ipv4의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는 경계를 정해준다. 주어진 수 만큼 서브넷 마스크를 32비트에서 1을 채우고 그 나머지는 0으로 채운다. 예를 들어 10.0.0.0/16 은0000 101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 10.0.0.0 - 주어진 주소 1111 1111. 1111 1111. 0000 0000. 0000 0000 ←— 255.255.0.0 - 서브넷 마스크 ( = /16) .. 2024. 8. 19.
[stack] 백준 1874 스택수열 문제____________문제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1부터 N까지 오름차순으로 스택에 push를.. 2024. 7. 31.
[알고리즘] 스택과 큐 [ 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JAVA ]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 입니다.  스택(stack)____________스택은 삽입과 삭제 연산이 후입 선출로 이뤄지는 자료구조 이다,(Last-In-First-Out) 후입 선출은 삽입과 삭제가 한 쪽에서만 일어나는 특징을 가진다. 새 값이 스택에 들어가면 top이 새 값을 가리키고 스택에서 값을 빼낼 때 pop은 top이 가리키는 값을 스택에서 빼게 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가장 마지막에 넣었던 값이 나오게 된다. 용어위치- top : 삽입과 삭제가 일어나는 위치연산- push : top 위치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는 연산- pop : top 위치에 현재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확인하는 연산- peek : top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단순 .. 2024. 7. 30.
[슬라이딩 윈도우] 백준 12891 Dna 비밀번호 문제/* 평소에 문자열을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하는 민호는 DNA 문자열을 알게 되었다.DNA 문자열은 모든 문자열에 등장하는 문자가 {‘A’, ‘C’, ‘G’, ‘T’} 인 문자열을 말한다.예를 들어 “ACKA”는 DNA 문자열이 아니지만 “ACCA”는 DNA 문자열이다.이런 신비한 문자열에 완전히 매료된 민호는 임의의 DNA 문자열을 만들고 만들어진 DNA 문자열의 부분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사용하기로 마음먹었다.하지만 민호는 이러한 방법에는 큰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임의의 DNA 문자열의 부분문자열을 뽑았을 때 “AAAA”와 같이 보안에 취약한 비밀번호가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민호는 부분문자열에서 등장하는 문자의 개수가 특정 개수 이상이여야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는 규칙을 만들.. 2024.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