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0 Mac terminal 사용 시 유용한 플러그인 1. 우선 oh-my-zsh 설치우선 다양한 플러그인 들을 zsh 에 적용하기 위해서는zsh 설정 관리자 인 oh-my-zsh 를 설치해야 한다. # homebrew 설치 확인brew -v# homebrew 설치/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를 통해 curl 설치brew install curl# 방금 설치한 curl으로 oh-my-zsh 설치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oh-my-zsh를 설치하면1. ~/.o.. 2025. 1. 2. S3와 SQS를 활용한 jenkins CI/CD Jenkins 파이프라인을 통해 github push event 발생 시, jar 파일을 빌드하고 AWS S3로 업로드 후, Amazon SQS 메세지를 활용하여 ec2가 jar 버전 변경을 감지하고 이를 가져와 실행하는 CICD 과정을 다룬다.Architecture 실습 과정1. Amazon rds에 연결한 간단한 기사를 작성하고 저장하는 프로젝트 생성 및 github에 업로드2. Docker 내 Jenkins 설치 및 ngrok 설정호스트의 디렉토리($(pwd)/appjardir)를 컨테이너의 /var/jenkins_home/appjar 경로에 마운트하여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설정한다.# docker 설치sudo apt install docker.io# 권한 추가 및 적용$sudo userm.. 2024. 10. 13. 부하테스트 stress와 sysstat 도구를 사용하여 CPU와 I/O 부하를 시뮬레이션하고, mpstat 및 pidstat로 시스템 성능 지표를 확인성능 평가: 서버가 특정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예상되는 최대 트래픽을 시뮬레이션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스케일링 결정: 시스템이 증가하는 사용자 수나 데이터 처리량에 대해 어떻게 확장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병목 현상 발견: 성능 저하의 원인을 찾고 해결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가용성 보장: 서버가 높은 부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용량 계획: 미래의 트래픽 증가에 대비해 리소스를 미리 계획하고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개요 Linux 시스템에서 부.. 2024. 10. 8. Kubernetes Self-Healing and LoadBalancing Minikube를 사용하여 로컬 환경에서 단일 노드 Kubernetes 클러스터를 설정하고, Docker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3개의 pod로 배포하여 클러스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부하 분산 서비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부하 생성기를 사용해 부하 분산 성능을 테스트하고, CPU 및 메모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였다.1. Kubernetes를 위한 준비Minikube 설치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minikube/releases/latest/minikube-linux-amd64sudo install minikube-linux-amd64 /usr/local/bin/minikube && rm minikube-linux-amd64k.. 2024. 10. 7. Jenkins onPremise 환경 CI/CD 👨🏫 CI/CDCI/CD(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배포)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방법이다.CI(지속적 통합)는 개발자들이 코드 변경을 자주 통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버그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CD(지속적 배포)는 코드 변경이 자동으로 배포되어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출시 주기를 단축시킨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발 및 배포 과정에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본 실습에서는 virtualbox에 구동중인 ubuntu vm에 jenkins를 실행하여 jenkins와 연결된 github repository에 push등의 변경사항이 생기면 jenkins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자동 빌드 및 배포과정을 자동화 하도록 하였다.📚.. 2024. 10. 7. [AWS] vpc 구현 실습 졸작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aws를 사용하여 배포중인데, 보안을 위해 private subnet에 web application server를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미리 vpc구조를 구축해보는 실습을 해 보고자 한다. 0. 아키텍쳐 아키텍쳐에 존재하는 public subnet의 EC2는 public subnet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표현하고, 추후 서비스에서 nginx를 사용해 리버스 프록시를 구현할 것이기 때문에 넣었다. session manager를 사용할 것이므로 Bastion Host로도 쓰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해당 실습에서는 public 서브넷에 ec2를 만들지 않을 것이다.1. VPC 생성 2. subnet 생성 2-1 생성한 vpc 를 할당 2-2 public subnet.. 2024. 9. 1.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