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프라/네트워크

[네트워크 인프라] LAN 구축 시뮬레이션

by odls 2024. 8. 20.

Cisco Packet Tracer 활용

 

pc 1 = 10.10.10.1/24

pc 2 = 10.10.10.2/24

pc 2 = 10.10.10.3/24

switch와 각각 fast ethernet으로 연결

 

 

pc1 의  ip와 mac 정보 확인

 

PC1 ip : 10.10.10.1/24

mac : 00D0.BAB2.D5D2

 

 

switch의 cli에서 mac address table 확인

enable

configure terminal

no ip domain-lookup

exit

show mac-address-table

 

 

2번 Switch 에서 mac address table 확인 

 

 f0/24 포트에 연결된 스위치인 SW1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음

 

 

 

1번 PC에서 브로드 캐스트로 Ping 보냄.

브로드 캐스트가 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ARP로 mac주소를 가져올 것.

arp 테이블 확인, 네트워크내의 pc2, pc3 의 mac주소를 가져왔다.

 

올바르게 가져왔나 PC3 의 실제 mac 주소 확인

0040.0B08.8CDD 로 arp 테이블에 알맞게 가져왔다.

 

 

 

2번 스위치의 mac address table 확인

 

ad84 d5d2는 1번스위치로 연결한 pc 1,2번

5518은 1번 스위치

8cdd는 직접 연결된 pc 3

스위치 입장에서 본인이 통신하는 mac address와 port를 연결한 테이블을 가지고 있음

 

이 테이블 정보를 유지하는 시간이 있다.

설정 가능.

시간이 지나면 휘발됨

 

 

포트 연결 확인

1번 fastethernet 포트는 연결되어있음. (PC1)

5번 fastethernet 포트는 down 되어 있음. (연결되어있는 장비나 단말이 없음)

 

 

 

_____ 번외

 

한번 라우터를 연결해았다.

 

1번 스위치의 23번포트와 2811라우터의 0번 포트

 

 

그런데 switch에 연결한 23번 포트의 상태를 보는데 down이라고 나타남.

 

router를 보면 마찬가지

 

그런데 administratively down

관리적으로 다운 이라는 언급이 있다

 

이를 라우터에서 설정을 통해 down된걸 바꿔 주어야 한다.

 

interface f0/0에서 no shutdown 설정

 

정상적으로 연결됨!

 

switch도 연결되었다고 나옴.